
웹 접근성의 미래 학습목표 1. 웹 접근성에서 파생된 다양한 영역의 접근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 웹 접근성에 미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웹 접근성의 올바른 발전 방향 접근성이 웹을 넘어 모바일 웹, 소프트웨어, 제품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접근성을 확인하고, 향후 서비스 영역 전체에 접근성을 적용할 수 있는 미래에 대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1. 문제점의 해결 웹 접근성의 문제점 마크업 기술 중심: 사용자 입장이나 다른 기술 영역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성이 아닌 오직 HTML 중심으로 보여진다 → 정보 접근성 측면에서, 웹의 영역(HTML, CSS 중심)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한다. 접근성과 관련된 국제표준은 2008년에 신기술을 고려하고 HTML 중심의 WCAG 1.0에서 다양한 신기술을..

견고성 학습목표 1. 마크업 오류의 방지 방법을 알 수 있다. 2. 웹 어플리케이션 접근성 준수 제공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견고성(Ruggedness) 웹 사이트를 만들 때 다양한 기술이나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잘 동작하고, 오류 없이 정보를 잘 전달할 수 있도록 만들자는 원칙 문서의 뻐대라고 할 수 있는 마크업 언어를 문법적으로 오류가 없도록 제작하는 것이 가장 기본이다. 문법적인 오류가 있다면 사용하는 브라우저 및 보조기기에 따라 오류를 해석하는 방법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등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차이로 인해서 사용자는 웹 콘텐츠의 인식, 이해, 사용에 영향을 받게 된다. 웹 접근성 검사항목 - 견고성 마크업 오류 방지: 마크업 언어의 요소는 열고 닫음, 중첩 관계 및 속성 선언에 오..

장애인의 웹 사용과 장애인차별금지법 학습목표 1. 장애인의 인터넷 이용환경을 이해할 수 있다. 2.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3. 웹 접근성 의무적용 시기, 대상 및 진정사례에 대해 알 수 있다. 무지의 베일 특정한 정책안의 선택을 둘러싸고 관련 이해당사자들이 어떠한 대안이 자신에게 유리하고 불리한지 모르는 상황 장애인과 인터넷 이용환경 우리 나라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터넷 뱅킹, 전자상거래 등이 활발하게 이용되는 등 인터넷은 우리 삶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고 모바일 시대를 맞아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장애인 사용자에게 웹 접근성을 높여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참고] 네이버 '널리' - 온라인 웹 접근성 체험(온라인 장애 체험) GO - 모바일 장애 체험 ..

웹 접근성의 이해 학습목표 1. 웹 접근성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2. 웹 접근성의 정확한 범위를 설명할 수 있다. 3. 접근성에 대한 관련 용어를 구분할 수 있다. 웹 접근성이란? 웹(웹 콘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능력 " 접근하기 쉽다 = 이용하기 쉽다 " 1. 웹 접근성에 대한 다양한 정의 2. Web for All 웹 접근성의 범위 모든 사용자 환경과 모든 기술 환경을 포괄하는 의미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 비장애인에 대한 일시적 장애 환경 고려 (고령자, 주변 소음 등) - 다양한 기술 환경 고려 (다양한 단말기와 소프트웨어 등) 하지만, 아직까지 통용되는 의미는 좁은 의미의 웹 접근성인 장애인 접근성에 가깝다. 그 예로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이나 '웹 접근성 품질마크의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