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구조 설계하기 학습목표 - 결정된 콘텐츠와 기능에 따라서 정보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를 고려하여 메뉴 및 UI 구성요소에 대하여 레이블링 (Labeling) 할 수 있다. - 사용자의 접근성, 사용성을 위하여 네비게이션(Navigation)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1. 정보구조 설계 (1) 정보구조 설계에서의 모호성 분류 시스템은 언어 기반 위에서 성립되는 것이며, 언어는 하나의 단어로 여러 가지 뜻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배’라는 단어도 먹는 배와 타는 배 그리고 사람의 배와 같이 다양한 뜻이 있다. 이와 같이 단어의 모호함은 정보를 분류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불안정한 요소로 작용한다. 홈페이지에서 우리는 정보의 그룹을 설명할 때 대부분의 경우 단어를 사용해서 표..

콘텐츠 기획 학습목표 - 사용자의 니즈(needs)와 제공하는 콘텐츠 간의 갭(gap)을 분석할 수 있다. - 갭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콘텐츠의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 - 갭을 분석한 결과에 의해서 결정한 콘텐츠 방향성에 따라서 주요 콘텐츠 수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파편화되고 불명확한 방대한 정보를 논리적이고 응집력 있는 그룹으로 조직화하고 분류하는 기법이다. 이 기법의 결과물로는 제한된 그룹의 수이며, 기대하는 목적은 보다 더 좋은 아이디어를 발굴하거나 문제를 좀 더 이해하는 것이다. 1.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활용 유형 아이디어 도출이 목적인 브레인스토밍 세션 문제 해결을 위한 세션 고객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세션 2. ..

기능(Feature) 리스트 도출 학습목표 - UI설계를 위하여 작성된 시나리오에 따라 기능을 도출할 수 있다. - 도출된 기능에 대해서 우선순위를 수립하여 주요 기능을 선별할 수 있다. 우선순위 기준에 의해서 선별된 주요 기능의 상세한 내역을 작성할 수 있다. 최소 기능 제품(Minimum Viable Product, MVP) MVP는 리스크나 투자 대비 최적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에게 핵심적인 기능을 최소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정의하는 방식이다. 해당 용어는 프랭크 로빈슨(Frank Robinson)이 정의하였고, 스티브 블랭크(Steve Blank)와 에릭 리이스(Eric Ries)가 대중화시켰다. MVP는 무조건적으로 적은 기능만을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공할 ..

UI/UX 콘셉트 도출 학습목표 - 도출된 아이디에이션(ideation)의 프로토타입 검증 결과에 따라서 확정된 UI/UX 콘셉트를 결정할 수 있다. - 도출된 UI/UX 콘셉트를 반영하여 목표 고객인 페르소나(persona)를 추출할 수 있다. - UI설계를 위해서 UI/UX 콘셉트에 적합한 시나리오(scenario)를 작성할 수 있다. 페르소나 (Persona) 사용자의 목적(goals)과 행동(behaviors)을 대표하는 실제 타깃 사용자 그룹을 가상의 캐릭터(artificial person and archetypical users)로 형상화하는 목적 지향적인(goal-directed) 인터랙션 디자인의 방법이다. 핵심적인 캐릭터의 구성요소는 니즈(motivations and needs) 목적 환..

프로토타입 제작 학습목표 - 선정된 아이디어를 다양한 방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할 수 있다. - 제작된 프로토타입이 목적에 맞게 구성되었는지 분석하고 검증할 수 있다. 프로토타입의 구성요소와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수정 사항을 도출하고 이슈를 보완할 수 있다. 프로토타입 (Prototype) 프로토타입은 상품/서비스가 출시되기 전 만들어진 원형(archetype)을 의미한다.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은 사용자의 요구사항, 사용자리서치를 통해서 도출된 니즈, 아이디어 등의 개념(Concept)을 담은 모형을 만들어 이후 사용자와 상품/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의 추가, 변경 및 삭제 등을 요구사항에 대해 소통하는 도구, 개발이 진행되는 동안 개발 참여자 간에 개념을 공유하는 도구를 만드는 설계과..

요구사항 분석, 콘셉트 아이디어 도출 학습목표 - UI/UX 개발 과제의 목표 충족을 위하여 사용자 리서치 결과를 토대로 Ui/UX 콘셉트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다. 요구사항 분석(Requirement Analysis) 1. 요구사항(Requirement) 요구사항은 제품, 서비스 등의 개발의 결과물이 충족하여야 할 대상으로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어떤 문제를 해결하거나 특정의 목정을 위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조건이나 능력 계약, 표준, 명세 또는 다른 형식으로 제시된 문서에 맞추어 시스템이나 시스템 구성 요소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나 능력. 요구 사항들은 시스템이나 시스템 구성 요소의 후속 개발 단계의 자료가 된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IT용어사전) 2. 요구사항 분석(Requirement An..

사용자 리서치 수행 학습목표 - 리서치 실행계획의 방법론에 따라서 리서치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리서치 수행 기법 목표한 사용자 리서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여러 기법이 혼용되기도 하며, 사용자 리서치를 수행한 조직과 제품/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고유의 기법을 개발하고 사용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리서치의 진행에 따라 계획한 기법 외에 보다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법을 적용하면서 계획을 수정해 진행하거나, 이를 반영하여 반복/점진적 프로세스에 따라 추가적인 사용자 리서치를 수행하기도 한다. 1. 개별 인터뷰 사용자와의 1:1 대화를 통해 조사를 수행하는 방법 직접대면 또는 유선상의 대화 사용자의 업무, 일상생활 등 맥락과 경험, 태도, 희망사항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인터뷰 방법 (..

사용자 리서치 계획수립 학습목표 - 리서치의 목적과 목표 고객, 내용, 범위, 방법, 일정 등을 포함한 리서치 실행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조사 목적과 얻고자 하는 자료의 특성 및 가용시간과 예산에 따라 자체 수행 또는 아웃소싱을 선정할 수 있다. 사용자 리서치 사용자 리서치는 사용자와의 직/간접적인 접촉을 통해 사용자의 식별을 포함하여 사용자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갖는 정보를 조사하는 활동이다. (Tulathimutte, Tony and Nate Bolt) 1. 마케팅 리서치 통계분석이나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상적인 정보를 조사한다. 사람들의 의견, 선호도를 알 수 있다. 마케팅 리서치의 주안점 브랜드와 서비스/제품에 대한 사용자들 반응 조사 서비스/제품의 사용자 유형별 선호도 파악 새로운 서비스/..

작업방법 및 수행계획 수립 학습목표 - UI/UX 개발에 적용할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작업 수행에 필요한 지침, 방법 등을 작성 할 수 있다. - 수행 작업 별로 작업의 순서를 위해 작업의 우선순위를 정의하고 작업 간의 연관 관 계를 도출할 수 있다. - 프로젝트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식별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프로세스 개념 및 유형 UI/UX 디자인 프로세스는 UI/UX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 또는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스란 주어진 목적을 위해 수행할 일련의 절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절차뿐만 아니라 투입 인력, 필요 기술을 통합하여 의미한다. 프로세스를 정의함을 문제 해결에 필요한 활동과 그들간의 순서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다. 일반 소프트웨어 개발에..

목표 및 범위 수립 학습목표 - 환경분석 결과를 토대로 UI/UX 개발을 수행하고자 하는 목적 및 목표를 정의할 수 있다. - 목표에 따라서 수행하고자 하는 범위를 수립할 수 있다. 목표 수행하려는, 성취하려는, 개발하려는 것을 기술한 것이다. 목표 달성정도가 프로젝트 성공을 평가하는 기준이기 때문에 명확한 목표 설정은 중요하다. 1. 목표 설정 규칙 - SMART 기법 무엇을 달성한 것인가 분명하게,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를 분명히 알 수 있게, 목표 달성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현실적으로 적절하고 실현 가능하게, 적절한 시간과 시기가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 (1) Specific: 구체적 개념: 구체적이고 확실한 것이어야 한다. 내용: 세부목표는 상세한 성과요건이므로 구체적으로 설정되..

UI/UX 트렌드 분석 학습목표 UI/UX 경쟁 분석을 위하여 국내외 경쟁사의 제품을 분석할 수 있다. 트렌드(Trend) 1. 정의 - 트렌드의 정의는 학문적으로건 실무적으로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음 - 사전적 정의는 추세, 경향, 흐름이지만 단순히 흐름이나 경향이라는 의미로만 해석되지는 않음 - '미래에 어떠한 상황이 도래할 것'이라는 의미지향성이 강하게 내포되어 있음 - 사전적 정의와 상관없이 뉘앙스만으로 수식하는 명사에 생동감을 부여함 UI/UX 트렌드의 이해 인간 중심의 디자인(Human-Centered Design)이 보편화 되면서, 전체 시스템에서 UI가 가지는 중요성은 점점 더 커져가고, 그 개념 또한 광의 의 인터랙션, 서비스를 포함하는 보편적인 가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다양..

사용자 라이프 스타일 분석 학습목표 UX 콘셉트를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할 수 있다. UI/UX 개념 이해 1. UI(User Interface) -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무엇을 하면 어떻게 될지 예측할 수 있게 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찾아가게 하기 위해 일련의 정보를 제공하는 개념 UI의 형태 명령행 기반(Command-line interface) 사용자가 키보드에서 명령을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것 메뉴 기반(Menu-driven interface) 메뉴선택에 의한 명령으로 작동시키는 것 Graphic User Interface(GUI) 위치지정도구(광전펜, 마우스, 컨트롤볼, 조이스틱 등)를 사용하며 도형표시 프로그램을 작동..